스피커 효율, 극대화 시켜주는 ACTIVE CROSSOVER
대부분의 사람들은 카 오디오 시스템에서 좋은 음질을 얻기 위해 파워앰프나 헤드 유닛, 스피커 등에 많은 비중을 두고 고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좋은 크로스오버의 선택 또한 음질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고 있고, 최상의 음질을 위해선 최상의 크로스오버 또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크로스오버의 역할은 Multi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소스기기로부터의 음을 Power Amplifier로 보내기 위해 고음, 중음, 저음 등 스펙트럼상의 시그널을 분리해 지정된 스피커나 파워 앰프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기기로서 각 채널별로 주파수를 조절이 가능하고 게인의 조절이 가능해야한다. 크로스오버에서 중요한 부분은 정확하게 주파수의 컷 팅이 이루어져야 하며 위상이 틀어지거나 하여서는 안 되고 크로스오버를 통과한 음이 원음을 훼손시켜서는 안 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의 구성 방식이나 부품 등의 선별은 전체적인 음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스테이지의 형성, 음의 깊이, 선명함, 해상력 등을 논할 때 헤드유닛 및 앰프의 음질도 중요하지만 결국 Multi로 시스템을 구성할 때 반드시 거쳐야하는 크로스오버는 이 모든 것의 중심점에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크로스오버는 또한 낮은 입력의 게인을 앰프가 구동되기에 충분한 출력을 내어주기 때문에 저가형 헤드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출력전압이 낮아 음질이 좋지 않고 파워가 약한 시스템에서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좋은 부품을 사용한 크로스오버를 선택하면 비교적 적은 가격에 쉽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다. 크로스오버는 일반적으로 Butterworth방식과 Linkwiz-Riley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로는 실질적으로 거의 모두 동일하다도 볼 수 있다. 너무 유명제품의 환상에만 집착하지 말고 직접 부품을 선별하여 조립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로는 간단하며 많이 공개 되어 있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크로스오버를 고를 때는 다음과 같은 것을 고려하여야한다.
1. 채널별로 독립적으로 주파수의 컷팅이 가능한가? 2. 일반적으로 검증된 방식의 회로를 사용하고 있는가? 3. 고품질 업체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는가? 4. 향후 크로스오버 부품의 Upgrade는 쉽게 가능한가? 5. 주파수는 정확하게 컷 팅 되는가? 6. Gain의 조정 범위는 충분한가? 7. 클릭 조정이 없는 볼륨을 사용하는가 (클릭과 클릭 사이 미세 조정, 고음부분)
어비스에서 판매하는 F1,F2 등은 위의 6가지 원칙에 충실하게 제작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OP AMP등의 부품을 자유롭게 Upgrade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부품들은 이미 검증되어 있는 부품을 사용하였습니다. 어비스의 크로스오버는 음의 재생을 좀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서브우퍼, 미드우퍼, 미드베이스 미드레인지, 트위터, 수퍼 트위터 등으로 음을 구분해 각 스피커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제작 하였으며 초 저음, 중음, 고음으로 나누는3WAY방식의F1과 초 저음, 저음, 중음, 고음, 또 하나의HI-PASS로 나누어지는5WAY F-2가 있다. 아래 도표1,2을 참고 하자.
F1과 F2의 장점과 기능을 살펴보면 크로스오버 로우 패스, 밴드 패스, 하이패스 주파수 선택이 가능 하며 전원단 PWM 방식으로 풍부한 전원 설계, 하였고 OP AMP전원은 ±15V .고 음질에 충실한 위마, 탄탈, 콘덴서 등을 적용하였으며 OP AMP는 JFET OPIC 사용하므로 보다 원음을 충실하게 재생시켜 줍니다.
F-1 F-2 Z-7 특징 1. 채널별 독립적인 주파수조절기능 2. Linkwiz-Riley 방식의 주파수 컷 팅 및 위상 보정 회로 채용 3. J-FET OPIC, Wima, OS-CON Tantal, 견고한 24k순금 도금단자, PWM방식의 고 순도 고 전류 전원단 4. Socket방식의 Opamp 장착 방식 사용 5. -12dB, -24dB 주파수 컷 팅 6. 입력 게인 및 주파수별 게인 조정기능 7. 초 고역 주파수 조절기능 (슈퍼 트위터)Z-7모델
| |